제목 | 노트앰프에 추가된 기능 소개(핑거스타일 타브 만들기)( 2014년 12월 17일) | ||||
---|---|---|---|---|---|
작성자 | 노트앰프 | 작성일 | 2014-12-18 | 조회수 | 4895 |
핑거스타일 악보를 3단계로 구분하면 .
1 사람이 완전히 편곡하여 새로 만든 핑거스타일 악보.
2 노트앰프 프로그램이 음악의 구역구역 자동으로 발췌하여 조합한 핑거스타일 악보
3 노트앰프가 만든 타브를 보고 참조하여 사람이 만드는 핑거스타일 악보
현재 노트앰프에 구현된 핑거 스타일 기능은 3번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노트앰프로 핑거스타일 타브 만드는 방법
1 음악의 핑거스타일로 치고 싶은 트랙들을 한 화면으로 모읍니다.(멜로디, 에드립, 오브리가토, 필인, 베이스 등등 )
2 트랙을 선택하여 타브 악보 만들기 버튼을 눌러 핑거스타일로 칠 트랙들을 타브 악보로 만듭니다.
3 핑거스타일 코드 만들기 버튼을 누릅니다.
- 핑거스타일 코드는 일반 코드가 아니고 기타 프랫보드에 코드의 구성음에 해당하는 것을 나열하여 보여주고, 현재 선택된 트랙에 타브가 있을 때 1,2,3,4 숫자로 프랫보드에 연주 순서를 표시하여, 타브를 연주하면서 연주되는 손가락 근처의 코드에 해당하는 프랫보드 칸을 그림으로 보여주어 조금이라도 더 쉽게 프랫보드의 노트를 판단할 수 있게 만든 코드 입니다.
- 타브가 없으면 기타 프랫보드에 코드 노트만 나타나고 빨간색 숫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 1,,3,4 등등 숫자가 연속되지 않는 경우는 중복으로 그 플랫을 연주 할 때 처음 숫자만 표시되고 나중 숫자는 표시가 않되어서 입니다.
- 연주 중, 트랙 선택을 변경하여 멜로디 또는 각각 트랙의 오브리가토의 타브를 변경하여 핑거스타일 코드에 표시 가능 하고, 또 그것을 오토메이션으로 녹음하여서 연주 중 트랙을 바꾸어 볼 수도 있습니다.
- 핑거스타일 코드는 타브 없는 일반 트랙일 때 플랫보드에 나열된 노트를 보며 새로운 코드를 만들어서 연주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습니다.
- 타브악보를 만들 때 타브가 너무 높거나 낮게 나올 때는 옥타브 버튼을 누른 뒤 타브를 다시 만드세요.
- 그림 악보로 타브를 만들 때는 연주 순서 에니메이션 그림이 나와서 화면 영역을 차지 하여 여러트랙의 타브를 보기가 힘들므로, 메뉴의 설정->악기 그림악보 설정-> 타브 그림악보 사용 안하기 버튼을 체크하고 사용하세요.
- 자동으로 추측하여 만든 타브가 아니고, 완전히 수동으로 타브를 만들어 정확한 타브를 만들 때는 노트앰프 악보 제작 메뉴얼을 참고 하세요.
- 툴바가 아닌 메뉴의 트랙 편집-> 트랙 속성에서 만들어진 타브는 그림악보 만들기 버튼의 체크를 빼도 타브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림 악보만들기 버튼으로 만든 타브는 임시성이라 사라지기 쉽게 만들었고, 메뉴에서 만든 타브는 실제로 정확하게 만들려고 시도한 타브라 사라지기 어렵게 만들 었습니다)
- 그림 악보가 표시되고 있는 트랙에 Control+ 마우스 드래그를 하면, 드래그한 구역이 뭉쳐지며 한개의 프레이즈로 되어 그 구역이 모여진 그림악보가 되고, 연주 순서 애니메이션이 그 구역으로 뭉쳐집니다. 또 이것을 저장 가능하여 나중에 불러 올수 있습니다( 디폴트는 한마디 입니다.)
- 자동으로 만들어 지는 타브의 품질은 노트앰프가 기타프로 보다 좋습니다.
(노트앰프로 타브를 만들면 사람이 타브 악보를 생각해서 만들어 내는 것 같이 손가락이 좀 덜 꼬입니다.)
(타브의 품질은 기타프로 버전 6까지 확인 )
|
이전글 | 노트앰프에 추가된 기능 소개2 (우쿨렐레 타브 만들기) (2014년 12월 18일) |
---|---|
다음글 | 노트앰프 알리기 이벤트 진행 합니다 (1회 결제에 2명사용 )(2015년 3월 31일까지) |